'히가시노 게이고'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07.08.08 faction

faction

잡기 2007. 8. 8. 03:04
Movable Type에서 Tattertools로 블로그 툴을 바꿨다. 태터툴즈가 그다지 마음에 드는 것은 아니다 -- 인터페이스를 강요한다. euc-kr에서 utf-8로의 변화로써 늦긴 했지만 발전적(?)이다. 무버블타잎이나 태터툴즈나 뭔가 좀 해보려면 코딩을 해야 한다. 태터툴즈의 코딩량이 상대적으로 눈에 띄게 적은 편이다. 올초부터 블로그 툴을 바꾸려고 했는데, 무버블타잎의 아티클을 변환하는 것이 번거러워 미뤘다.

며칠전 다운 받은 태터툴즈 1.1.3은 백업 파일을 xml로 저장하기 때문에 무버블 타잎으로부터 변환이 손쉬웠다. 여행기와 잡기를 편의상 통합했다. 지저분한 태터툴즈 로고, 스킨 로고, CC 로고 등등은 제거했다. 손쉬운 작업(?)인데 하루가 꼬박 걸렸다. 늙어가고 있다는 증거다. 워낙 블로그를 폐쇄적으로 운영해 왔다. 이 블로그는 자비출판된 공개 일기장과 다르지 않다. 문득 안네 프랑크나 빨강머리 앤이 생각난다. 주접을 떨어대는 앤에게 혐오감을 느꼈던 어린 시절도 기억난다.

괄약근에 힘주면 혈압이 오른다. 는 얘기는 술자리에서 자주 나오던 얘기였다. 그것으로 군대 면제받을 수 있다는 얘기. 그런데 그거 하다 걸린 녀석들에 관한 신문 기사를 읽었다.

 

'살아서는 돈 벌어오고, 죽어서는 보험금을 남기라' 는, 몹시 강렬한 메시지를 남기는 보험사 광고.

재테크 차원에서 저축보험에 들었다. 보장내역은 신경쓰지 않았다. 저축보험은 복리 저축의 효과가 있고, '죽어서 보험금'을 남기는, 사랑의 힘으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훌륭한 애비가 될 수 있다. 교육비 상승률 연 7%를 감안하면 아이가 대학갈 때쯤 해서 대략 4년간 8000만원 가량이 학비로 필요하다. 아이를 무척 사랑하기 때문에 아이의 독립심을 키워주기 위해 학비 지원은 없을 것이다. 아무튼 이런 연구결과도 있다; 사랑은 건강에 해롭다.  합리적으로 연구결과나 세상을 믿지 못하고 살기란 여간 힘든게 아니다. 태어나기 싫었는데... 살아가기 싫었는데... 사랑하고 싶지 않았는데... 하고 훌쩍여봤자 이미 늦은 것이지만.

시세이도 샴푸 선전을 보다가 어디서 본 여자앤데 싶어 뒤져보니, 허니와 클로버, 훌라걸의 아오이 유우. 귀여워서 기억하고 있었다. 훌라걸은 묘하게 한국적인 분위기가 난다 싶더만 감독이 재일한국인이다. 훌라걸의 사투리가 강원도 정선 사투리랑 비슷해서 괴기스러웠다. 영화가 재미있었던가? 그게... 잘 모르겠다. 개마초(open macho)를 표방한 이후 허니와 클로버 같은 영화는 이해가 안 간다.  이런 것도 이해가 안 갔다;
... 여성들은 이런 부분에서 취향이 맞으면 자본주의자와 공산주의자라도 같이 살 수 있는 것이다.

시어머니 왈, "처자식 버리고 증발하는 아들을 키운 것은 나다, 내 탓이다, 사토코, 미안하다." 그렇게 사과하는 동시에 노부오를 매섭게 비난하는 것도 잊지 않았다. 덜 되먹은 놈 같으니, 하면서. 화를 내기 시작하면 사과로 끝내고, 사과하기 시작하면 화를 내면서 끝냈다. 할머니가 감정을 발산하는 양상을 두고, 전에 고교생이던 쓰요시는, "그건 그냥 할머니의 취미에요. 거의 사는 보람이라고 할 수 있죠." 라고 말한 적이 있다. -- 미야베 미유키, 이유

미야베 미유키의 장광설을 좀 더 읽고 싶었는데 도서관에는 그의 책 거의 전부가 대출중이다. 뭐... 신문에 난 기사를 보고, 이번 여름에는 일본 추리소설을 읽어볼까? 라고 생각한 사람이 나 뿐만은 아닐 것이다. 정보 소스가 박광규씨니까 그 양반이라면 재미없는 책을 설마 소개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래서 히가시노 게이고의 '레몬'과 '환야'도 읽었다. 환야는 '백야'를 먼저 읽어야 아구가 맞을 것 같은데 대출중이다. 둘 다 재미있다. 레몬은 의아한 부분이 많았고 처녀생식에 관해 좀 더 치밀하게 묘사했으면 했는데, 히가시노가 과학 스릴러를 쓰고 싶은 생각은 없었나 보다. 환야는 팜므 파탈 소설의 전형성을 그대로 보인다. 주인공 얼간이 남자가 조작되다가(이리 채이고 저리 채이다가) 결국 쓴웃음을 지은 채 자멸하는. 악녀 치고 머리좋은 여자는 없다는 고래의 진리가 잘 반영되어 있다.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여자는 본래 선악의 구분이 없는 존재다. 그래서 마음만 맞으면 절대 그럴 것 같지 않은 여여, 남녀가 공존할 수 있다.

하여튼, 미야베 미유키의 책들이 거의 다 대출중이라 하는 수 없이 무라카미 하루키의 '도쿄 기담집'을 빌렸다. 글빨은 있지만 엉성하고 재미없는(입맛만 다시게 되는) 이야기에 실망이다.  so what? (그래서?)라고 물으면 하루키는 why not?(안될 껀 뭔데?) 라고 지껄일 것 같다. 글에 구체성을 부여하기 위해 상표를 줄줄이 나열하거나 시답잖은 얘기로 심지어 글을 출판까지 하는 그의 괴상한 취미도 여전했다. 하루키 글을 읽으면 일본인들은 원래 이리도 소심한가 싶다. 아니다, 문학이 원래 소심한 장광설인 것이다.

도서관에서 책 빌려 나오는 길에 분실물 보관함을 흘낏 보았더니 저번주에 잃어버린 가방이 버젓이 놓여 있다. 사무실에 가서 분실물을 찾으러 왔다고 하니 이 사람, 저 사람 말이 날개를 달고 날아다니다가 정확히 12시 30분에 열쇠(를 가진 사람)가 도착하니 그때까지 기다려 달란다. 출근해야 되요, 라고 말하며 시계를 보니 11시 30분이다. 요즘 새벽까지 잠을 못 자서 출근이 늦다. 출근이 늦으니 퇴근도 늦다.

새벽에는 일본 드라마 '노다메 칸타빌레'를 보았다. 실사를 만화와 똑같이 만들어 놓았다. 이틀 동안 새벽에 잠 안 자고 다운받은 드라마를 시청했다. 하하 자주 웃었다.

만화보다 나은 점은 줄기차게 어디선가 자주 듣던 클래식들이 줄줄이 튀어나온다는 점이랄까? 이를테면 Brahms, Symphony No. 1 in C minor op.68 (13:15)은 출근길 지하철에 앉아 책을 펼칠 때 흔히 시작하는 이른바, (그다지 반갑지만은 않은) '아침을 여는 음악'이다. Beethoven, Symphony No. 7 in A Major Op.92(13:31) 는 자전거를 타는 어느 시점에서 들려온다. 10대 시절에는 후까시가 왕창 잡힌 베토벤을 좋아했다.

'노다메 칸타빌레'는 썩 괜찮은 음악 드라마다. 원작이 원래 재밌다. 연주실력이 좋아서 유명 지휘자, 유명 레코드의 더빙인 줄 알았는데 드라마를 만들기 위해 오케스트레이션을 실제로 녹화했다는 얘길 듣고 신선했다. 제대로 하는군. 흔한 시쳇말로, 음악계는 천재들의 무덤이다. 노다메 칸타빌레에서 그 주제가 여러 차례 변주된다.

오케스트레이션이라... 동시에 귀로 구분할 수 있는 악기 수는 기껏해야 6-7개 정도 뿐이다. 어린 시절에 클래식, 특히 교향곡을 많이 들은 탓인지는 모르겠지만 락과 헤비메탈이 쉬웠다. 락, 특히 프로그레시브 락은 대단했다 -- 온갖 (짜증도 가끔 나는) 음악적 실험을 눈도 한 번 안 깜빡이고 그야말로 미친듯이 시도한다. 요즘은 박상철, 무조건(3:36)이나 강진, 땡벌(3:11), MC몽, 아이스크림(3:36) 같은 최신가요도 디저트처럼 곁들였다.

당신을 향한 나의 사랑은 특급사랑이야~~
태평양을 건너!
대서양을 건너!
인도양을 건너서라도~~
당신이 부르면 달려갈꺼야, 무조건 달려갈꺼야.
짜짜라 짜라짜짜 짜짜짜

동-서남북 어디에서도 나-란 얼간이는 없다고-
그래도 너 하나만 사랑한다고-
쉽게 녹아버린 니 마음 상-처받은 엠씨몽
사랑은 아아아아이스크림

여기저기 전방위적인 '무조건'과 '아이스크림'은 여행을 연상케 한다. 노랫가사에 땡벌은 왜 나오는건지 뜬금없다. 들어보면 결국 찌질스런 사랑타령이지만. 뭄바이의 도미토리에서 만난 이란 출신의 치과의사가 이렇게 말했다; 인생은 아이스크림이다. 녹아버리기 전에 낼름 먹을 것. 인생도, 사랑도 아이스크림인거다. 언젠가는 녹는다. mp3p에는 지난 8개월 이상 클래식만 저장해서 들었다. 기분 전환을 위해 한동안 드림 씨어터 앨범 전집을 관람할 생각.

세금논란, 사학 비리, 이랜드 사태, 아프간 피랍 등 가히 한국예수교의 수난 시대인 듯. 이랜드 사태와 관련해서 '파견의 품격'라는 일본 드라마를 소개받았다. 파견없이는 회사가 돌아가지 않는다. 그러니 정사원과 파견사원은 서로의 처지를 이해하고 사이좋게 지내자. 는게 요점인 것 같다. 첫 화에서 정사원과 파견사원의 연봉을 줄줄이 보여주면서 자본사회의 품격을 제대로 보여주는가 싶더만 회가 거듭될수록 사연많은 슈퍼걸의 고뇌와 인덕으로 회귀하는 것 같다. 드라마가 좀 더 천박하게 각을 세우길 바랬달까? 사회문제의 평범한 귀결인, 첨예한 대립과 피비린내 나는 투쟁으로 총인의 에너지를 소비한 후 정전 후 소강상태나 냉전으로 진행되지 않았다. 아무도 각자의 사정과 입장을 양보하지 않는 것이 소위 엿먹을 인지상정이란 것이다.
,